안녕하세요 베노마이입니다 🙋♀️
오늘은 ADR(Advance Decline Ratio) 지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할게요.
ADR(주식등락비율)은 최근 알게된 지표인데요.
현재의 시장상태가 과열상태인지, 바닥권인지를 알아 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매수 타이밍, 매도 타이밍 판단에 참고할 수 있겠죠?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개요
ADR(주식등락비율)이 무엇인지 먼저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기본적인 의미를 보면, 현재의 시장 상황이 바닥권인지, 과열권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지표라고 할 수 있는데요.
특정 기간동안 상승한 종목수가 많았는지, 하락한 종목수가 많았는지를 통해 현재의 시장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기본적으로 20거래일을 사용하며, 방향성을 보기 위해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종합주가지수는 가격의 변동을 나타내고 등락주선의 변동은 등락종목수의 변동을 나타낸다. 등락비율은 이 2가지를 대비함으로써 시세가 어느 정도 강력한 것인가를 알고자 하는 것이다. 등락주선의 결점은 이것이 시세의 상승국면에서는 특히 투자대상이 집중화하는 경향이 있고 또 권리락, 배당락 등에도 수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런 결점의 보완으로 등락종목의 비율로써 시장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 등락비율이다. 등락비율은 천정권을 예측하는 기능보다 저가권을 발견하는 기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출처: 한경 경제용어 사전
계산 방법
그럼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특정 거래일동안의 상승종목 갯수 / 하락종목 갯수를하여 비율로 계산이 되는데요.
(거래일은 기본적으로 20일을 사용합니다.)
의미
기본적으로 상승종목 과 하락종목의 비율로 계산되기 때문에,
100에 가깝다면 상승종목 수와 하락 종목 수가 비슷한 상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125을 넘어가면 보통 과열 상태로 보며 주가가 많이 상승한 시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75미만까지 떨어진다면, 바닥권이라고 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과열상태라면 매도, 바닥권이라면 매수를 하는게 좋겠죠?
단기투자를 위한 의사결정이나, 장기 투자의 매수 타이밍에 활용하면 좋은 지표인 것 같습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ADR등락지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는 이러한 지표들을 이용하여 학습한 AI모델을 매매에 활용하고 있는데요. 다음에 새로운 지표로 인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Benomai는 이러한 지표들을 활용하여 공격적인 단기 투자를 위해 만들어진 AI 주식 추천 서비스이며, 매수&매도 판단에 참고하실 수 있도록 주가 상승 여력 확률을 제공해 드립니다.
아래 프리미엄 구독 서비스를 통해 저렴한 가격에 구독을 하실 수 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enomai/benomaistock/contents/230310151708174hj
[AI가 찍어주는 상승종목 23.3.10] 월요일(13일) 종목 추천
안녕하세요. 베노마이(benomAI)입니다. benomAI는 딥러닝을 이용하여 학습된 AI 주식 추천 모델입니다. AI의 예측 확률 기반으로 공격적인 ETF 방식의 종목 정보 공개 컨텐츠를 제공합니다. 또한 다음
contents.premium.naver.com
'주식 종목 잡학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3일 추천] 매수 추천 종목 분석 - 유에스티 (0) | 2023.03.29 |
---|---|
[3/2일 추천] 매수 추천 종목 분석 - 디아이씨 (0) | 2023.03.10 |
[2/16일 추천] 매수 추천 종목 분석 - 한화생명 (0) | 2023.02.26 |
[2/16일 추천] 매수 추천 종목 분석 - 인팩 (0) | 2023.02.17 |
[2/13일 추천] 매수 추천 종목 분석 - 현대두산인프라코어 (0) | 2023.02.16 |